어린이 우리나라 역사

청동기

무극신 2022. 8. 7. 15:50

인류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토기를 만든 이래 땅을 계속 탐험하면서 옥, 구리, , , 철 등 광물을 발견해서 물건을 만드는 데 활용하고 있고,

이는 현대에서도 세륨 등 희토류 물질을 두고 국가 간 다툼이 있고,

미래에는 우주까지 탐사할 예정임을 어린이 여러분도 잘 알고 있을 거예요.

 

신석기 초기에 이미 구리로 만든 유물이 발견되는 것은  인류의 호기심과 탐구 활동 때문이예요.

 

광물 중 철은 흔하게 발견되지만 철의 녹는 점은 15381100까지만 온도를 올릴 수 있었던 신석기 시대에는 운철 외에는 강철을 이용할 수 없었어요.

 

그리고 구리는 녹여(녹는 점 1084) 사용할 수 있었지만 구리의 성질이 물러서 공구나 무기 같이 단단한 물건은 만들 수 없었네요.

 

구리와 다른 금속을 섞으면 단단한 물건을 만들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발견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을 거예요.

 

구리와 주석을 섞은 합금을 청동, 구리와 아연 합금은 황동, 구리와 니켈 합금은 백동이라고 해요.

 

합금 비율은 물건 마다 또 사회나 시대 마다 각각 달랐다고 하네요.

 

청동이 합금의 대표 이름으로 사용되었기에 청동기가 사용된 시대를 청동기 시대라고 하죠.

 

청동으로 만든 검

청동기 시대라고 모든 물건을 청동으로 만든 것은 아니예요.

왜냐하면 청동은 값이 비쌌거든요.

 

주석 생산지가 적어서(한반도에서는 주석이 생산되지 않는다고 하죠) 주석을 수입해야만 했기에

청동기는 고가의 물건이었던 거예요.

 

따라서 농사 등에는 여전히 석기를 사용했던 것이죠.

 

철기는 이점에서 다른데요, 무기 보다는 농구나 공구로 먼저 사용했던 것으로 보여요.

 

철을 녹일 수 있게 되면서 철기가 널리 보급되는데, 철기가 청동기 보다 더 단단하기 때문이 아니라

철의 매장지가 흔해서 가격이 더 저렴했기 때문이예요.

 

 

청동기의 전파

 

 

청동을 발명한 사람을 알 수 없지만,

청동기는 기원전 3500년 경에는 중동, 이집트 등 지중해와 우크라이나 조지아 등 흑해 지역에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었어요.

 

기원전 3천년 경 흑해 지역 사람들이 시베리아로 이동하는 데 이들은 목축을 하던 사람들로 이들의 문화를 아파나시에보 문화라고 해요.

 

이들 유목민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신시(神市)와 접촉하였고, 청동기 제작 비법도 이때 전래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치우천왕 때 처음 청동기가 사용되었다고 했잖아요.

 

만주에서 청동기가 발견되는 기원전 25세기와 치우천왕이 활약하던 기원전 27세기는 시간 차가 많지 않아요.

치우천왕 때 청동기 제작 기술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한편, 북한 학계에서는 기원전 38세기 청동기가 발견되었다고 하고 이때부터 청동기 사회라고 하고 있죠.

남한 학계는 기원전 15세기부터 청동기 사회로 보고 있어요.

 

청동기 도입에 대한 남한학계와 북한 학계의 엄청난 인식 차이는

북한 유물에 대한 남한 학계의 접근이 어려운 점에 있다고 생각되네요.

 

또 남한은 변두리로서 중심지인 평양과 문화 격차가 있었을 거예요.

 

남한의 발전은 후기 고조선에서 비로소 보이기 시작하죠.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보기로 해요.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신석기나 청동기 시대를 설정할 때

현재 한반도 영토에 국한한 필요가 없다는 것이예요.

 

만주와 한반도가 같은 문화권에 속하고,

곧 소개할 고조선의 영역은 한반도와 만주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죠.

 

남한 학계는 또한 청동기 사회 보다는 무문토기(문양이 없는 토기)를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 하여 청동기 시대를 갈음하고 있는데 옳지 못하다고 생각되네요.

 

청동기 사회를 설명하면서 무문토기 사회라고 명명하고 있는 것이죠.

 

발견되는 유물이 적다고 하여 토기로 청동기를 갈음하는 것은

청동기 시대의 역동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고 봐요.

 

특이한 점은 남한의 경우 청동기가 연해주를 통해서 동해안 지역에 더 빨리 유입된다는 것인데,

이는 철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예요.

 

청동기가 서에서 동으로 전파되었다면,

한반도에서 청동기 보급이 동쪽이 더 늦여야 하는데 오히려 더 빠르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죠.

 

이는 유물의 발견과 관련된 것으로 한반도 서쪽에서 더 연대가 더 이른 청동기와 철기가 발견된다면 해결될 문제라고 봐요.

 

남한은 연해주를 통해 청동기와 철기가 도입되는데 그 시기가 서해보다 더 빠른 경향이 있다

 

청동기 사회를 인류 문명의 시작이란 관점이 있는데 이는 다음 문명이란 주제로 논의해 볼께요.

반응형

'어린이 우리나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 조선의 탄생  (1) 2022.09.25
문명의 기원  (0) 2022.09.13
치우천왕  (0) 2022.06.19
고인돌  (0) 2022.05.21
홍익인간, 재세이화  (0) 202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