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우리나라 역사 19

삼한으로 묶다

안타깝게도 단군 왕검의 통일과정에 대한 기록은 없어요. 그렇지만 약간의 단서로 충분히 추정은 가능하죠. 먼저 단군 왕검은 웅녀의 후예로서 신과 같은 사람으로 여겨졌다는 거예요. 이는 불필요한 전투를 줄여 단군 왕검의 기반을 유지할 수 있어 유리하죠. 그리고 청동기가 보급되는 초기 단계라 비싸서 귀족 외에는 청동기로 무장할 수가 없어 전투가 많지 았았다는 거예요. 그리고 결정적인 것은 신시의 제도와 풍습을 계승한다고 하여 환웅 박달족의 호응을 얻었다는 것이예요. 산동성으로 이주했던 치우 청구국을 쉽게 흡수할 수 있었구요. 평양 구빈마을 전설에서 단군 왕검의 전투 장면을 단적으로 볼 수 있어요. 단군이 거느린 박달족이 마고할미가 족장인 마고성을 공격했는데, 싸움에서 진 마고할미는 단군이 마고 부족에게 잘해주..

국가, 조선의 탄생

고려 때 일연 스님이 쓴(1281년) 삼국유사에, 옛 기록에 의하면 단군 왕검이 평양성에 도읍하고 처음으로 “조선”이라 하였으며, 또 "위서"라는 책을 들면서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하고 국가를 열어 조선이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하셨어요. 조선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첫 국가이네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우리는 10월 3일인 개천절을 공휴일로 정해서 기리고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 역사에서 고려 이후 다시 “조선” 이름이 있기에 이를 구별하기 위해 단군왕검이 세운 조선은 옛조선이라 하고 한자로 고조선(古朝鮮)이라 편의상 부르고 있어요. 우리도 고조선이라고 부르기로 해요. 그런데 일연 스님도 단군 조선을 고조선이라 부르는데, 일연 스님은 고려 사람인데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세워질 것을 예견해서 단군 조..

문명의 기원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한 구석기 사회에서 가축을 기르며 농사를 짓고 한 곳에서 정착한 신석기 사회는 인류 역사에서 큰 전환기라고 하겠어요. 그러나 신석기 사회를 문명 사회라고 부르지는 않죠. 문명 사회라고 하려면 어떤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현대 사회에서 문명의 요소를 찾아내 보죠. 어린이 여러분의 생활 환경을 둘러봐요. 스마트폰, 컴퓨터, 상수도 하수도, 지하철과 버스, 아빠 엄마의 직장, 도시, 나라, 책, 학교 등 여러 가지가 떠오르죠. 이들을 줄여 표현하면 기계와 기술, 사회기반시설, 문자, 도시 이상의 조직, 일의 전문화 등이 되겠네요. 문명이라고 부르려면 위의 요소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런데 동양에서는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 네 문명을 가리켜 세계..

청동기

인류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토기를 만든 이래 땅을 계속 탐험하면서 옥, 구리, 금, 은, 철 등 광물을 발견해서 물건을 만드는 데 활용하고 있고, 이는 현대에서도 세륨 등 희토류 물질을 두고 국가 간 다툼이 있고, 미래에는 우주까지 탐사할 예정임을 어린이 여러분도 잘 알고 있을 거예요. 신석기 초기에 이미 구리로 만든 유물이 발견되는 것은 인류의 호기심과 탐구 활동 때문이예요. 광물 중 철은 흔하게 발견되지만 철의 녹는 점은 1538℃로 1100℃까지만 온도를 올릴 수 있었던 신석기 시대에는 운철 외에는 강철을 이용할 수 없었어요. 그리고 구리는 녹여(녹는 점 1084℃) 사용할 수 있었지만 구리의 성질이 물러서 공구나 무기 같이 단단한 물건은 만들 수 없었네요. 구리와 다른 금속을 섞으면 단단한 물건을..

치우천왕

환웅 집단이 태백산에 올 때를 기억하시나요? 이때 이주 후보에 삼위산도 고려했었죠? 환웅은 태백산으로 갔지만 환국에서 일부는 삼위산으로 이주했으며, 이들 후손이 차츰 천수시 서안시 그리고 황하 인근으로 이동하였어요. ※ 고고학적으로 당시 서안과 하남의 문화를 “앙소” 문화라고 해요. 치우 이후 산동, 하남, 산서 문화를 “용산”문화라고 하죠. 따라서 환웅 집단과 삼위산으로 이동한 집단과는 가까운 사이인 것이죠. 예를 들어 서안에 정착한 집단 중 신농씨라고 하는 씨족의 장이 유명한데, 환웅 집단 중에 ‘고시’라는 분의 친족의 후예로 알려져 있어요. 한편 신시가 발전하다가 타격을 받는데, 아마 바이러스로 추정돼요. 동물을 기르고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바이러스에 취약해진 것이죠. 바이러스로 인하여 다시 사람들..

고인돌

위 사진에 있는 구조물을 “고인돌”이라고 해요. 지역 축제도 있어서 어린이 여러분도 고인돌을 잘 알고 있을 거예요. 참여를 통해 고인돌의 제작 과정을 학습했을 수도 있구요. 여기서 우리는 더 깊은 생각을 해볼까요. 고인돌을 만들려면 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필요하죠. 따라서 이런 의문이 들거예요. 왜 이렇게 힘든 고인돌을 만들었을까?' 의문을 풀기 위해 고인돌이 발견된 세계 지도를 볼 필요가 있어요. 어린이 여러분도 바로 알 수가 있을 거예요. '고인돌은 해안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구나. 그렇다면 바다를 통해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네!' 지금까지 육상에서의 이동을 통한 문화의 전파를 보았었지만, 이제 어린이 여러분은 바다를 통해서도 문화가 전파되는 보고 있는 거예요. 또 다른 의문이 떠오를 거예요. '누가 전..

홍익인간, 재세이화

환웅이 출현하여 도시를 건설하자 비로소 우리나라의 역사가 시작되었어요. 환웅이 하산한 목적을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 해요. 한자말이라 어린이 여러분에겐 다소 어려울 수 있는데요,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단어와 그 뜻을 알아둬야 해요. 그런데 홍익인간을 고조선의 건국 이념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아요. 이는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단군신화에서 환웅과 단군을 아버지와 아들로 표현한 것은 국가를 건국한 단군이 도시를 건설한 환웅의 역사를 승계한 것을 신화적인 어법으로 표현한 것인데, 단군의 아버지가 환웅이란 문자 그대로 실제 부자관계로 오인한 것이예요. 그런데 홍익인간의 의미가 현대에서 다시 재조명되고 있어요. 왕이 통치하는 시대에는 그 의미를 제대로 이..

원방각 문화

외국인과의 접촉은 문화, 문명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전에 ‘교역’편에서 말한 적이 있지요?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외국인은 수백 만명으로 우리나라의 경제, 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답니다. 환웅 집단도 외부인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을 거예요. 이런 영향은 물질적인 것과 물질적이 아닌 것으로 구분할 수 있겠네요. 환웅 집단이 전해준 물질적인 것엔 뭐가 있을까요? 글쎄요 딱히 보이지 않네요. 이는 물질적인 면에서 환웅 집단 보다 적봉시 사람들의 문화가 오히려 더 뛰어나거나 비슷하다는 뜻이 되겠지요. 환웅이 신의 도시를 만들었다고 했죠? 도시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행정 조직이 필요하죠. 전에 말했던 풍백, 운사, 우사 외에도 여러 조직이 있었을 거예요. 행정 조직은 효율적인 특성이 있어요. 기존 문..

배달 민족

환웅은 높은 산 또는 고원에 사는 사람으로 수메르 보단 티벳에서 왔을 것이라고 추정했었죠. 그렇다면 환웅과 그의 사람들이 도착했던 곳은 어디였을까요? 삼국유사에는 태백산(太伯山)에 내려왔다고 기록되어 있어요. 태백산이 어느 곳인지를 알면 환웅천왕이 도착한 곳을 알 수 있겠네요. 그런데 아쉽게도 태백산 이름만으로는 찾기 어려워요. 태백은 구릉이나 산을 뜻한다고 말했죠. 전에 말했던 괴베클리 테페의 테페(tepe)의 의미라고 생각하면 되어요. 태백산이 구릉의 의미라면 이름만으로는 찾을 수 없겠어요. 그래서 우리는 당시 역사적인 상황으로 추측을 해볼께요. 우리가 여행을 갈 때는 여행지의 음식점, 관광 장소, 교통 등을 먼저 알아 보고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고 가죠. 환웅도 마찬가지 였을 거예요. 특히 수 많은 ..

환웅천왕

기원전 3898년 신의 도시를 세워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 환웅천왕 그는 누구일까요? 우리에게 너무나 고마운 분인데도 안타깝게도 그 분에 대해선 전혀 알려진 것이 없네요. 환웅천왕에 대해 찾아보고 생각해 보기로 해요. 어떤 사람을 잘 알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사회적, 경제적 배경과 말과 행동, 인간관계 등을 분석해야 하죠? 그러나 고대 사람들은 자료가 거의 없으므로 역사적 환경을 활용해서 추측할 수밖에 없어요. 먼저 환웅천왕에서 천왕은 칭호이네요. 천왕은 하늘의 왕이란 뜻으로 같은 뜻의 우리말 칭호를 썼을 테인데 이를 한자로 번역한 거예요. 환웅도 환국의 영웅이란 뜻으로 역시 이름으로 보기는 어렵겠네요. 왕의 이름을 말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라고 판단해서인지 나라를 세운 왕의 이름이 전해지지 않은 경우가 ..